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직장인 부업- 크몽,숨고,탈잉 비교 분석

by 그로우랩 2024. 4. 22.
반응형

부수입을 노리는 직장인이라면 한 번쯤 온라인 서비스 플랫폼을 고민해 보셨을 것입니다. 무자본으로 부업을 시작하기 위해서 가장 잘 알려진 것이 크몽, 숨고, 탈잉인데요. 오늘은 본격적으로 직장인 부업에 돌입하기 위해 어떤 사이트가 가장 적합할지 비교 분석해 알려드리겠습니다. 

 

1. 직장인 부업을 위한 '크몽, 숨고, 탈잉' 비교 분석 

 

크몽 사이트의 특징 

 

내가 제공할 수 있는 서비스가 비교적 전문적인 서비스라면 크몽을 선택하면 좋습니다.

크몽은 그래픽 디자인, 마케팅, 번역, 프로그래밍, 비디오 제작 등 전문적인 서비스가 필요한 개인이나 기업 고객을 타깃으로 하기 때문에 각종 비즈니스, 마케팅에 특화된 서비스들이 모여있습니다. 

 

전문적인 서비스를 직접 등록할 수 있다는 점도 장점입니다.  등록 후, 서비스 검색이 바로 되며 서비스를 보고 들어온 고객과 직접 소통할 수 있습니다. 

 

숨고 사이트의 특징 

내가 제공할 수 있는 서비스가 다양한 일상 서비스, 생활 편의 서비스에 가깝다면 숨고를 추천합니다.

 

숨고는 청소, 이사, 수리, 학습지도, 미용 등 일상적인 서비스가 필요한 고객을 타깃으로 합니다. 일상 서비스의 범위가 굉장히 확장되어 있기 때문에 건축, 법률, 회계와 같은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습니다.

 

크몽이 서비스 제공자와 고객과 직접 소통하는 사이트라면, 숨고는 다른 방식입니다. 서비스 제공자는 고객의 문의에 따라 견적을 제공하며 그 견적을 받아본 고객이 여러 제안 중 하나를 고르는 형태입니다. 

또한 숨고는 생활 서비스의 성격이 강해 상대적으로 서비스 지역에 영향을 받습니다. 

 

탈잉 사이트 특징 

 

탈잉은 개인 또는 소그룹을 대상으로 하는 교육 및 취미 클래스 입니다. 주로 취미, 기술 개발, 언어 학습을 원하는 고객을 타깃으로 합니다. 

탈잉은 강사와 학생간의 직접 소통, 수업을 진행하는 방식의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온/오프라인 모두 가능하며 학습과 취미생활을 위한 서비스를 찾기 편합니다. 

 

 

직장인 부업을 위한 사이트 분석

 

2. 직장인 부업 시작하려면 어떤 사이트가 좋을까? 

 

위의 세 사이트는 각각의 목적과 장점이 명확하므로, 내가 제공할 수 있는 서비스가 무엇인지에 따라 선택해야 합니다. 

만약 내가 전문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면 크몽 사이트를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전문적인 노하우를 전달할 수 있다면, 크몽 

앞서 언급한 것처럼 크몽은 개인이나 기업의 비즈니스를 위한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더 중점이 맞춰져 있습니다. 실제로 비즈니스 관련한 노하우를 찾는 분들이 많기 때문에 서비스, 전자책, VOD 서비스를 시작할 수 있죠. 저 역시 부업을 시작할 때, 가장 먼저 했던 것이 전자책 발행이었습니다. 

 

요즘은 비즈니스와 관련된 범위가 좀 더 확장된 듯 보이는데요. 심리상담, 연애, 각종 노하우를 전자책으로 펴낼 수 있어 이 점도 활용해 보면 좋을 것 같습니다. 최근 보니, 연예를 위한 문자 메시지 작성법과 같은 노하우도 있어서... 참 돈 버는 법이 다양해졌구나 싶었습니다. 

 

생활의 달인이라면, 숨고 

숨고의 경우에는 과거보다 서비스가 확장되어 있지만 여전히 생활 서비스가 강세입니다. 여기서는 블로그 글쓰기나 검색엔진 최적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보다 '에어컨 청소, 집청소, 이사, 도배' 등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것입니다. 

 

레슨, 과외 경험이 있다면, 탈잉 

 

탈잉의 경우에는 좀 더 1:1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적합한 것 같습니다. 개인적으로 느끼는 것이지만, 대학생부터 사회 초년생들이 활용할만한 서비스가 많다는 생각이 듭니다. 

만약 레슨이나 과외 경험이 많은 분들이라면 탈잉의 서비스를 통해 서비스를 판매해 보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직장인 부업 사이트 전격 비교

 

직장인 부업을 시작하기 전에 각 사이트의 성격이 내 서비스와 맞는지 확인하는 것은 중요합니다. 또 가격을 측정할 때, 사이트 별로 수수료가 다르니 꼭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반응형